본문 바로가기

에릭에반스5

DDD - Assertion - 출처: 도메인 주도 설계 - 에릭 에반스 - 개요 복잡한 계산을 하는 부분은 앞서 살펴본 side effect free function 으로 분리하면 문제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부수효과가 있는 명령(command)는 Entity 에 남아있으며 개발자는 이런 명령의 영향력을 이해해야 한다. 단순한 명령의 경우 코드를 조사하는것만으로도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하지만 앱의 규모가 커지면 작은 부분을 조합하여 큰 부분을 구성하는 설계가 등장하기 마련이고, 이럴 경우 사용자가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면 다른 명령을 호출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각 호출되는 명령을 이해해야 해서 캡슐화가 깨지게 된다. 내부를 조사하지 않고 설계 요소의 의미와 연산 실행결과를 이해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단.. 2022. 10. 22.
DDD - Side effect free function - 출처: 도메인 주도 설계 - 에릭 에반스 - 연산과 함수 연산은 명령(command, modification)과 질의(query)로 나눌 수 있다. 명령(command, modification): 변수값을 변경해서 시스템의 상태를 변경 질의(query): 변수안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을 수행 함수는 부수효과를 일으키지 않고 결과를 반환하는 연산이다. 여러번 호출 해도 무방하며 매번 동일한 값을 반환한다. - 명령과 질의의 분리 명령과 질의는 서로 엄격하게 다른 연산으로 분리해야 한다. 변경을 발생시키는 메서드는 도메인 데이터를 반환하지 않고 단순하게 유지해야 한다. 또는 명령과 질의를 분리하는 대신 연산의 결과를 표현하는 새로운 VO(Value-Object)를 생성.. 2022. 10. 22.
DDD - Module (package) - 출처: 도메인 주도 설계 - 에릭 에반스 - Module (package) 인간이 한번에 받아들일 수 있는 인지력은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만약 legacy 시스템을 운영해야 하는 업무를 수행한다고 가정해보자. legacy가 방대하다면 해당 시스템을 한번에 이해하기란 쉽지 않을것이다. 그럼 어떻게 해당 시스템을 분석할것인가? 가장 기본적인 접근법은 특정 단위로 나누어서 분석하고 그들간의 관계를 파악하는것이다. module은 왜 필요한가? 위에서 언급한대로 인간의 인지적인 과부하를 줄이기 위한 단위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module 또는 package 라고할 수 있다. module을 분석하는 관점에는 2가지가 있다. 하나는 module과 module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해당 m.. 2022. 8. 7.
DDD - Value Object - 출처: 도메인 주도 설계 - 에릭 에반스 - Value-Object (VO) VO는 개념적인 식별성이 없고 사물의 어떤 특징을 묘사하는 객체이다. 예를 들어 어떤 아이가 펜으로 그림을 그리려고 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만약 똑같은 색과 굵기와 모양의 펜이 2개가 있다면 아이는 어떤 펜을 사용해도 도 크게 개의치 않을것이다. VO는 설계요소가 어느것인지가 아닌 무엇인지에 관심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주소"는 VO인가? VO와 Entity에 관련된 글이나 자료를 보다 보면 자주 떠오르는 유형의 의문점이 있다. VO와 Entity의 차이 혹은 "주소"는 VO일까? 와 같은 유형의 질문이다. 이 질문에 해답역시 앞의 Entity 장에서 살펴본것과 같이 도메인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따라 다르다. 전.. 2022. 7. 19.
DDD - S/W와 모델 - 출처: 도메인 주도 설계 - 에릭 에반스 - S/W 에서 표현되는 모델 S/W 에서는 모델을 표현하는 주요 패턴으로 3가지 형태가 주로 사용된다. Entity: 어떤 객체가 영속성과 식별성을 지닐 때 VO: 다른 무언가의 상태를 기술하는 속성에 불과할 때 Service: 객체보다 행동/연산으로 더 명확하게 표현되는 경우 자바라면 class, Golang 이라면 struct로 표현하기만 하면 되는데 왜 굳이 Entity와 VO라는 개념을 도입해서 나누는지 의문을 가질 수도 있다. 굳이 이렇게 하는 이유는 특정 객체가 특정 패턴을 따르면 객체의 역할이 더욱 명확해져서 설계 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Entity와 VO만 있으면 객체를 표현할 수 있는데 Service라는 개념은 왜 필요할까? .. 2022. 7. 16.